맨위로가기

좋다 말았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좋다 말았네는 장기하와 얼굴들이 2013년에 발표한 싱글로, 소비자가 직접 음원 가격을 결정하는 파격적인 실험을 시도했다. 이 곡은 현대카드 뮤직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을 지불하고 음원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으며, 뮤직비디오는 음식을 만드는 과정과 음식의 운명을 통해 당시 음원 시장 상황에 대한 뮤지션의 좌절감을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장기하는 대한민국 음원 시장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문제 제기를 위해 이 곡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기하와 얼굴들 - 하세가와 요헤이
    하세가와 요헤이는 1999년 밴드 '곱창전골'을 시작으로 김창완 밴드, 뜨거운 감자, 장기하와 얼굴들 등에서 기타리스트로 활동한 일본의 음악가이며, 한국 록 음악에 대한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 장기하와 얼굴들 - 무한도전 자유로 가요제
    무한도전 자유로 가요제는 2013년 무한도전에서 방송된 가요제로, 멤버들이 다양한 뮤지션들과 팀을 이루어 개성 넘치는 무대를 선보이며 큰 인기를 끌었으나, 일부 곡은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노래 - 아침 이슬
    1970년에 발표된 아침 이슬은 억압적인 정치 상황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젊은이들에게 인기를 얻었으나 금지곡으로 지정되었고, 민주화를 염원하는 이들에게 불리며 민중 가요의 대표곡이 되었다.
  • 대한민국의 노래 - 아모르 파티 (노래)
    김연자의 노래 〈아모르 파티〉는 트로트와 EDM을 결합한 신스팝 장르 곡으로, 프리드리히 니체의 운명애를 뜻하는 "아모르 파티"를 제목으로 사용했으며, 2017년 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역주행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 2013년 노래 - 아모르 파티 (노래)
    김연자의 노래 〈아모르 파티〉는 트로트와 EDM을 결합한 신스팝 장르 곡으로, 프리드리히 니체의 운명애를 뜻하는 "아모르 파티"를 제목으로 사용했으며, 2017년 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역주행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 2013년 노래 - Let It Go
    Let It Go는 영화 겨울왕국의 대표 삽입곡으로, 엘사가 자신의 마법 능력을 받아들이고 억압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그린 파워 발라드이며,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어 다양한 언어로 번안되고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좋다 말았네 - [음악]에 관한 문서
곡 정보
곡명좋다 말았네
음악가장기하와 얼굴들
발매일2013년 3월 29일
포맷디지털 다운로드
언어한국어
길이4:13
싱글 연표
이전 싱글〈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OST〉 (2012)
이번 싱글〈좋다 말았네〉 (2013)
다음 싱글〈새해 복〉 (2015)
뮤직 비디오

2. 배경

장기하와 얼굴들은 2013년에 발표한 싱글 〈좋다 말았네〉를 통해 소비자가 직접 음원 가격을 결정하는 파격적인 실험을 했다. 이 노래는 그해 가을에 발매될 예정이었던 장기하와 얼굴들 3집에 수록될 예정이었다.[2]

이 실험은 장기하의 제안을 현대카드 뮤직이 받아들이면서 성사되었다. 현대카드 뮤직은 2012년 5월부터 뮤지션이 가격을 결정하고 소비자가 구매하는 음원 프리마켓을 시도했지만, 현대카드 회원만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2013년 7월 25일부터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장기하와 얼굴들의 제안은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상황이 되었다. 장기하와 얼굴들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음원 시장에 대한 문제 제기와 더불어 차기작 홍보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2]

2. 1. 음원 가격 정책 실험

장기하와 얼굴들현대카드 뮤직과 협업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에 음원을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2007년 영국 밴드 라디오헤드가 시도했던 방식을 참고한 것으로, 당시 대한민국 음원 시장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문제 제기였다.[2]

장기하는 "한국 음원시장이 문제가 많은 것은 기정사실이다. 그런 상황에서 뮤지션이 원하는 가격으로 음원을 판매하는 현대카드뮤직의 음원프리마켓에 공감했다"며 "우리는 한 번 더 생각을 뒤집어 음악을 사는 사람들이 가격을 매긴다면 그 가격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고, 그로 인해 음원시장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2]

2. 2. 대한민국 음원 시장 비판

장기하는 기자회견에서 "한국 음원시장이 문제가 많은 것은 기정사실"이라며 대한민국 음원 시장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음악을 사는 사람들이 가격을 매긴다면 그 가격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고, 그로 인해 음원시장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2] 이는 뮤지션이 원하는 가격으로 음원을 판매하는 현대카드뮤직의 음원프리마켓에 공감한 결과였다.[2]

장기하와 얼굴들의 신곡 〈좋다 말았네〉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으로 음원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판매되었다. 이는 2007년 영국 록 밴드 라디오헤드가 정규 7집 《In Rainbows》를 통해 시도했던 방식이기도 하다.[2] 장기하는 "우리가 총대를 메고 이런 시도를 해보면 흥하던 망하던 간에 분명히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2]

3. 뮤직비디오

〈좋다 말았네〉 뮤직비디오는 장기하가 직접 연출과 시나리오를 맡아 독특한 영상미와 상징적인 메시지로 주목받았다.

3. 1. 내용 및 연출

29일 음원 발매와 동시에 공개된 뮤직비디오는 음식을 만드는 과정과 음식들이 처한 운명을 통해 '''좋다 말았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초희는 음식을 기대하는 듯 입맛을 다시다가 갑자기 상을 엎고 퇴장하면서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3] 뮤직비디오는 장기하가 직접 연출과 시나리오를 맡았으며, 정성껏 만든 요리가 바닥으로 내팽개쳐지는 장면을 담고 있다. 장기하는 "지금 음원시장의 상황에서 뮤지션이 느끼는 감정이 이런 느낌이 아닐까 한다. 바로 정성껏 만든 음악을 헐값에 파는 심정"이라고 설명했다.[2]

장기하는 이초희에 대해 "누구와도 비슷하지 않은 신비하면서도 귀여운 이미지의 배우라서 뮤직비디오에서 짧지만 가장 중요한 장면을 소화해야 될 여주인공으로 잘 맞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또한 "인물 중심의 뮤직비디오에서 주연을 맡아야 마땅한 배우에게 너무 적은 분량의 출연을 부탁하게 돼 미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출연에 응해주고 진지하고 유쾌하게 촬영에 임해준 이초희씨에게 정말 감사하다"며 "특히 나와 마주보고 갈등의 눈빛을 주고받는 장면에서 정말 가슴이 서늘해져 좋은 배우임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초희 역시 "평소 장기하와 얼굴들의 팬으로써 정말 즐겁게 촬영했다. 무엇보다 상을 엎어볼 수 있는 기회를 얻어서 참 즐거웠다"며 "좋은 의미를 가진 프로젝트인 만큼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고 뮤직비디오 촬영 소감과 함께 응원의 메시지를 남겼다.[3]

3. 2. 배우 이초희

장기하는 이초희의 독특한 이미지가 뮤직비디오의 콘셉트와 잘 부합한다고 판단하여 캐스팅했다. 장기하는 "이초희는 누구와도 비슷하지 않은 신비하면서도 귀여운 이미지의 배우라서 뮤직비디오에서 짧지만 가장 중요한 장면을 소화해야 될 여주인공으로 잘 맞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3]

이초희는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음식을 기대하는 듯 입맛을 다시다가 갑자기 상을 엎고 퇴장하는 강렬한 연기로 뮤직비디오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3] 이초희는 "평소 장기하와 얼굴들의 팬으로써 정말 즐겁게 촬영했다. 무엇보다 상을 엎어볼 수 있는 기회를 얻어서 참 즐거웠다"며 "좋은 의미를 가진 프로젝트인 만큼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3]

4. 곡 목록

제목재생 시간
좋다 말았네4:13


참조

[1] 뉴스 장기하와얼굴들 신곡음원가격? 0원+α ..구매자 마음대로 http://star.mt.co.kr[...] 2013-03-28
[2] 뉴스 장기하와 얼굴들, 거절하지 못할 제안을 하다 http://tenasia.hanky[...] 2013-03-29
[3] 뉴스 이초희, 장기하와 얼굴들 '좋다 말았네' 뮤비 깜짝 출연 http://www.segye.com[...] 2017-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